Surprise Me!

[여의도 막전막후] 총선 D-100…여야, 총력체제 돌입

2020-01-06 0 Dailymotion

[여의도 막전막후] 총선 D-100…여야, 총력체제 돌입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여의도 정치권의 모습을 전해드리는 여의도 막전막후 시간입니다.<br /><br />국회를 출입하고 있는 정치부 정영빈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에는 어떤 뉴스를 준비했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21대 총선이 이제 정확히 100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여야는 본격적인 총선 준비 체제에 돌입한 상황인데요.<br /><br />문재인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과 함께 차기 대선의 가늠자 역할을 하게 될 이번 총선을 앞두고 여야는 원내 제1당을 넘어 과반 의석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총선을 100일 앞둔 상황에서 이번 선거의 승패에 영향을 주게 될 변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총선의 승패를 좌우할 여러 변수들이 거론되고 있는데 가장 먼저 어떤 변수를 꼽을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이번 총선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준연동형 비례제가 적용됩니다.<br /><br />전체 비례대표 의석 47석 중에서 30석에 50%의 연동률을 적용하는 것인데요.<br /><br />지역구에서 얻은 의석수가 전국 정당 득표율에 미치지 못하면 비례대표 의석을 통해 보전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.<br /><br />그래픽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예를 들어 총 의석수 300석 중 A 정당이 10%의 득표율을 얻었다고 가정하면 이 정당은 모두 30석을 가져가야 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지역구에서 10석 밖에 얻지 못했다고 가정하면, 비례대표 의석으로 20석을 보전해줘야 하는데 연동률을 50%로 했기 때문에 20석의 절반인 10석이 보전됩니다.<br /><br />물론 연동형이 적용되는 의석수가 30석이기 때문에 여기에 맞춰 세부적 조정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확실한 것은 그동안 정당 득표율에 비해서 지역구 의석을 많이 얻지 못했던 군소정당에 유리해진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바른미래당과 정의당, 평화당 등은 그동안 연동형 비례제 도입을 계속해서 요구해왔는데요.<br /><br />정의당 심상정 대표의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연동형 비례대표제라는 도입이라는 첫발을 뗀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나머지 부족한 것은 국민들이 내년 총선에서 투표로서 보완해주실 것이라고 믿습니다."<br /><br />이 때문에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과 한국당이라는 거대 양당은 비례대표 의석수가 줄고 나머지 정당들은 의석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런데 한국당이 연동형 비례제 도입에 반발하면서 비례용 위성정당 창당을 공식화하지 않았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그렇습니다.<br /><br />말씀드린 대로 연동형 비례제는 민주당과 한국당처럼 거대 양당에는 불리한 제도인데요.<br /><br />이 때문에 연동형 비례제 도입에 반발해왔던 한국당은 위성정당은 비례자유한국당 창당을 공식화하고 창당 작업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이달 내로 창당대회가 열릴 것으로 관측되는데요.<br /><br />황교안 대표의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압도적 총선 승리를 통해서, 문재인 정권을 심판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것 다 하겠습니다. 비례정당도 필요하다면 만들겠습니다."<br /><br />비례자유한국당이 출범하면 이번 총선에서 한국당은 지역구 후보만, 비례자유한국당은 비례대표 후보만 낼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이는 정당득표율에 따라 배분한 의석수보다 지역구 당선자의 수가 적어야 비례대표 의석을 가져갈 수 있게 한 연동형 비례대표제 하에서 의석수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인데요.<br /><br />일각에서는 비례자유한국당이 비례대표 의석 47석 중 30석 안팎까지 차지할 수 있을 거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총선 직후 한국당과 비례자유한국당이 통합하면 원내 1당이 될 확률도 생깁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민주당을 비롯한 다른 정당들은 비례자유한국당을 겨냥해 꼼수정치라는 비난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선거법 개정으로 올해 총선부터는 만 18세 이하로 선거연령이 낮춰졌는데, 이것도 변수가 될 수 있겠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선거법 개정안 통과로 선거연령이 만 18세 이하로 낮아졌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총선에서 투표가 가능한 유권자는 2002년 4월 16일생까지인데요.<br /><br />약 50만 명의 청소년이 새롭게 유권자로 편입됩니다.<br /><br />물론 전체 유권자의 2%를 넘지 않는 비중이지만 불과 몇 백표 차이로 당락이 갈리기도 하는 수도권에서는 민감한 변수로 꼽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여야는 경쟁적으로 청년 표심을 잡기 위한 공약 마련과 인재영입에 분주한 상황인데요.<br /><br />다만 20대 투표율이 여전히 6070대 투표율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이 얼마나 투표장을 찾을지 여부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여야가 총선에 앞서 경쟁적으로 새 인물을 영입하고 또 현역의원 물갈이에 나섰는데, 이것도 중요한 변수가 되겠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인적쇄신은 총선 때마다 늘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였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현역의원이 많았던, 다시 말해서 기존 의원들을 교체한 비율이 높은 정당일수록 승리했던 경험이 많은데요.<br /><br />이 때문에 여야는 경쟁적으로 인적쇄신과 참신한 인물 영입에 분주합니다.<br /><br />먼저 민주당부터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해찬 대표를 비롯해 원혜영, 백재현 의원 등 중진의원들이 그리고 유은혜, 박영선 등 의원 겸직 장관들, 여기다 이철희, 표창원 의원 같은 초선 의원들까지 불출마를 선언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와 맞물려서 새로운 인재 영입도 계속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1호 인재영입에서부터 변화를 시도했습니다. 과거 인지도 높은 스타성 인사들을 1호로 영입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여성 척수장애인인 최혜영 강동대 교수를 1호 인재로 영입했는데요.<br /><br />이후 20대 남성인 원종건 씨, 또 김병주 전 육군대장에 이어 고검장 출신 소병철 순천대 석좌교수까지 인재영입도 지속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소 교수의 발언을 들어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 "저는 문재인 정부 검찰개혁 완수를 위해 지금까지 쌓아온 저의 모든 경륜과 역량을 쏟아붓겠습니다. 법 집행이 정의롭지 못하면 세상의 정의를 지킬 수 없습니다."<br /><br />인적쇄신에 나서고 있는 것은 한국당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한국당에서는 김무성, 김세연, 여상규, 김세연 의원 등 부산경남지역에서만 모...

Buy Now on CodeCanyon